의뢰인은 전 배우자와의 이혼을 준비하며 위자료 및 재산분할을 청구하고자 본 법무법인을 찾아왔습니다.두 사람은 수년간의 혼인 생활을 유지해왔고, 혼인 기간 중 축적된 상당한 규모의 재산이 존재하였습니다.의뢰인은 이혼 과정에서 자신에게 정당하게 귀속되어야 할 재산이 상대방의 임의 처분이나 은닉으로 인해 사라질 위험이 크다고 우려하였고,이에 따라 본 법무법인은 즉각적으로 가압류 조치를 통해 재산 보호에 나섰습니다.
본 사건은 이혼에 따른 위자료 및 재산분할을 청구함에 있어, 실제적인 실익 확보를 위해 법적 청구에 앞서 ‘가압류’를 통한 집행 가능 재산 확보를 선행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채무자 명의로 된 부동산은 서울 시내 소재 고층 아파트로, 시장 가치가 충분히 입증되는 자산이었습니다.그러나 이혼 소송이 시작되기 전 상대방이 이를 제3자에게 처분하거나 담보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, 그에 대한 사전적 방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본 법무법인은 의뢰인의 이혼 사유와 재산분할 내역, 상대방의 재산 현황 및 행동 경향을 면밀히 분석하여, 서울가정법원에 채무자 소유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 신청을 진행하였습니다.청구채권은 총 1억 3천만 원(위자료 3천만 원, 재산분할 1억 원)으로 구성되었으며, 법원은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서를 담보로 하여 해당 아파트에 대한 가압류 결정을 내려주었습니다.
법원은 채권자의 주장에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고, 채무자 소유의 아파트(서울특별시 소재 아파트 및 해당 대지지분 포함)에 대해 가압류 결정을 내렸습니다.이를 통해 채무자는 해당 부동산을 임의로 처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게 되었고, 향후 본안 소송에서 위자료와 재산분할 판결이 나더라도 집행 가능성이 확보된 상태가 되었습니다.결과적으로 의뢰인은 이혼소송의 실익 확보는 물론, 상대방의 임의 처분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안정적인 절차를 밟을 수 있었습니다.재산보전조치로서의 가압류는 법적 분쟁에서 자주 간과되기 쉬운 절차지만, 본 사건에서처럼 사전 확보 전략이 효과적으로 작동한 대표적인 사례로 남게 되었습니다. 이 사건은 단순한 이혼 청구를 넘어, 재산 보전을 위한 전략적 조치가 사전에 취해져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.본 법무법인은 이혼소송에서의 실질적 성과를 확보하기 위해, 채무자 명의의 핵심 자산에 대해 신속히 가압류 결정을 받아냄으로써 의뢰인의 권리를 강력하게 보호하였습니다.이러한 경험은 유사한 이혼 및 재산분할 분쟁에서 중요한 선례로 작용할 수 있으며, 본 사건은 ‘권리 보호를 위한 선제 조치’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됩니다.

- 민법 제840조(재판상 이혼원인) 부부의 일방은 다음 각호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에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. <개정 1990. 1. 13.>
1. 배우자에 부정한 행위가 있었을 때
2. 배우자가 악의로 다른 일방을 유기한 때
3. 배우자 또는 그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
4. 자기의 직계존속이 배우자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
5. 배우자의 생사가 3년 이상 분명하지 아니한 때
6.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을 때
※본 업무사례는 법무법인 오현의 실제 업무 사례입니다.
※본 업무사례를 진행하였던 변호사님 혹은 칼럼의 대표변호사와 상담을 원하시면 상담요청시 사전에 말씀 부탁드립니다.
※본 업무사례 및 관련서류의 무단 소지, 도용등을 금합니다.
#이혼소송 #재산분할청구 #위자료청구 #부동산가압류 #재산보전조치 #사전집행확보